넷플릭스를 이용하다가 요금제를 변경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요금제에 따라 지원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때 다른 요금제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넷플릭스는 모두 3가지 요금제가 있습니다. 요금제에 따라 이용금액도 다르고 해상도나 지원 디바이스 그리고 동시접속자수도 다르기 때문에 나의 이용 패턴에 잘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자세한 차이는 다음 글에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요금제 변경 방법
요금제 변경이 어플에서는 안됩니다. 요즘은 어플에서 못하는 게 없다 보니 당연하게 바꾸 수 있을 줄 알고 여기저기 설정을 찾아다니게 됩니다. 이 점이 많이 헷갈리게 하지요. 어플 대신 사이트에 접속해야 바꿀 수 있습니다.
이유는 넷플릭스는 앱 내에서 결제 관련 설정을 하지 못하게 설계해 놨기 때문입니다. 애플이나 구글의 인앱 결제 정책 때문으로, 넷플릭스가 자체 결제 시스템을 쓰다 보니 앱 안에서는 요금제 변경이나 결제 관련 정보 접근이 안 되도록 막아둔 것이지요.
그래서 앱에서는 단순히 영상 시청, 계정 정보 확인, 저장된 콘텐츠 확인까지만 가능하고 요금제 변경, 결제 수단 변경, 해지는 전부 웹사이트에서만 가능하다는 점 참고해 주세요.

넷플릭스 사이트에 접속을 합니다. 초기 화면 오른쪽 맨 위에 있는 프로필을 선택하면 메뉴가 펼쳐집니다. 여기서 <계정>을 선택해 주세요.

<계정 관리>에서 멤버십 변경이나 결제 수단 그리고 비밀번호 변경까지, 나의 계정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멤버십 변경>을 선택해 주셔도 되고, <멤버십 관리>를 체크해 주셔도 됩니다.

여기서 원하시는 요금제를 체크 한 후 <다음>을 선택해 주세요. 이용해 보시고 마음에 안 들면 언제든지 다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요금제 변경 후 이용 요금 계산은?
요금은 변경한 당일부터 새 요금제가 적용되어, 기존 요금과 새 요금 차이를 일할 계산해서 정산합니다.
예를 들어 4월 1일에 광고형 요금제(5,500원) 시작하고 4월 15일에 스탠다드 요금제(13,500원)로 변경하셨다면, 그럼 4월 1일~14일은 광고형, 4월 15일~30일은 스탠다드로 계산합니다.
이 차액을 계산해서 다음 달 결제일에 정산하는 구조로, 추가 요금이 있으면 다음 달 결제금액에 합산되고 환불될 금액이 있으면 그만큼 차감됩니다.
👉넷플릭스 요금제 정리
👉넷플릭스 고객센터 전화번호
👉넷플릭스 계정 해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