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살 때 혹은 중고차를 살 때 자동차 근저당이라는 단어 한 번쯤 들어보셨죠? 그런데 이게 정확히 뭔지 또 어떤 상황에서 생기는지 그리고 근저당이 있으면 어떤 불편이 있는지 헷갈리기 쉬워요.
그래서 오늘은 자동차 근저당에 대해 진짜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특히 중고차 살 때 조심해야 할 점까지 꾹꾹 눌러 담았으니까요. 혹시라도 관련 문제를 겪고 계신다면 끝까지 읽어보셔요.
자동차근저당이란?
근저당? 그게 뭐길래 내 차에 묶여 있을까?
자동차 근저당이란 말이 좀 생소하죠? 쉽게 말해서 이건 돈을 빌려주고 그 담보로 자동차에 설정하는 권리라고 보시면 돼요.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차를 사면서 돈이 부족해서 금융사나 캐피탈 같은 곳에서 돈을 빌렸어요. 이때 금융사는 “혹시 돈 못 갚으면 이 차로 대신 받을게요” 하면서 근저당 설정을 해요
이건 일종의 안전장치예요. 돈을 빌려준 쪽에서 “이 사람이 돈을 못 갚으면 차를 가져가거나 강제 경매를 할 수 있다”는 권리를 미리 확보해 놓는 거죠. 즉 자동차에 빚이 묶인 거예요.
이 근저당 설정은 자동차등록원부에 딱 기록돼서 누구든 조회할 수 있답니다.
어떤 경우에 자동차에 근저당이 걸릴까?
할부구입했거나 돈 빌려 차 샀다면?
근저당은 보통 아래 상황에서 설정돼요
- 차량 할부 구매할 때
예를 들어 캐피탈에서 할부로 차를 구매하면 해당 캐피탈이 근저당권자가 되는 거죠 - 금융권에서 대출받고 자동차를 담보로 설정했을 때
차를 담보로 돈을 빌렸을 경우에도 근저당이 설정돼요 - 사업용 차량 구매하면서 자금 조달한 경우
법인 차량, 택시, 렌트카 등도 자금 대출이 있을 수 있죠 - 중고차 매매 시 전 차주가 아직 근저당을 해지하지 않은 경우
이건 정말 조심해야 해요
자동차에 근저당이 있으면 어떤 어려움이 있을까?
중고차 샀는데… 알고 보니 ‘빚 있는 차’??
근저당이 설정돼 있는 차량은 몇 가지 불편함과 위험이 있어요
- 명의이전이 어렵다
차량에 근저당이 설정되어 있으면 새 차주로 명의이전을 못 할 수 있어요.
자동차등록사업소에서 딱 막히거든요. “이 차량은 근저당 설정 중입니다”라고 하면서요. - 차를 마음대로 팔 수 없다
내가 차주라고 해도, 근저당이 있으면 그 권리는 온전히 내 것이 아니에요. 즉, 금융사 허락 없이 처분이 불가능해요. - 경매 또는 압류 위험
대출을 제때 못 갚으면 금융사가 차량을 경매에 넘겨버릴 수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진짜 날벼락이죠.
특히 중고차 살 때 근저당 확인 안 했다가 갑자기 경매로 날아간 경우도 있어요.
근저당 있는 차를 샀다면? 해결 방법은?
제일 중요한 건 ‘근저당 말소’
자동차 근저당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무조건! 근저당을 말소(해지)해야 해요.
그 방법은 아래와 같아요
- 채무 전액 상환하기
해당 금융사나 대출기관에 남은 금액을 모두 갚아요. 다 갚으면 보통 1~2일 내에 근저당 말소 서류가 나옵니다. - 말소 서류 받아서 차량등록사업소에 제출
자동차등록사업소나 온라인 민원처리 통해서 근저당 말소 신청해요. 요즘은 ‘민원24’나 ‘자동차365’ 같은 사이트에서도 가능하니까 참고해요. - 차주가 아니라면 판매자에게 말소 후 이전을 요청해야 해요.
중고차 구매 시에는 무조건 “근저당 말소된 후에 명의이전” 진행하셔야 해요 가끔 중고차 딜러들이 “곧 말소될 거예요”라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믿으면 안 돼요.
비슷한 자동차 권리 관계 용어 비교
용어 | 의미 | 특징 |
---|---|---|
근저당 | 채무 담보로 차량에 설정한 권리 | 명의이전/처분 불가, 채무완납 시 말소 가능 |
압류 | 국가나 지자체가 세금 체납 등으로 차량 소유 제한 | 체납 해소 후 해제 가능 |
저당 | 근저당과 비슷하나, 통상적으로 한 건의 채무에 대한 담보 | 근저당은 여러 채무에 대비 가능 |
리스 | 소유는 금융사, 사용은 이용자 | 만기 시 소유권 이전 가능 |
그럼 어떻게 조심해야 할까요?
중고차 사기 전엔 꼭 ‘자동차등록원부’ 열람하기!
자동차365 사이트 또는 민원24에서 차량등록원부를 조회하면 근저당 여부 확인할 수 있어요. 등본상 ‘제2면’을 꼭 확인하세요. 여기엔 소유자 외에도 근저당권자 정보가 다 나와 있거든요.
정리하면
자동차 근저당은 그냥 단순한 계약 내용이 아니라 실제 재산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예요. 모르고 당하면 차는 있는데 내 것도 아니고 팔 수도 없고 운전만 할 수 있는 애매한 상황이 돼버리죠.
특히 중고차 구매할 때 “차는 진짜 괜찮은데 너무 싸다” 싶은 경우엔 꼭 의심하고 등록원부 열람 + 근저당 말소 확인은 필수예요.
혹시 지금 자동차 근저당 때문에 고민하고 계시다면 금융사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상환 잔액 확인하고
빠르게 말소 절차 밟는 게 제일 빠른 해결책입니다.